우리나라 결핵 감염자 수는 인구 10만 명당 35~45명으로 낮은 편이지만 OECD회원국 중에서는 높은 편입니다. 잠복결핵 감염 검사를 시행하는 이유는 결핵으로 발병할 위험성이 높은 잠복결핵 감염 양성자에 대해 잠복결핵 감염 치료를 시행하여 결핵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입니다. 우리나나 의료법에는 의료기관, 산후조리원,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아동복지시설 종사자 등 공공밀집시설에 근무하는 경우 의무적으로 잠복결핵검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 결핵환자접촉자, 결핵고위험군, 에이즈 환자도 잠복결핵검사 권고 대상자들입니다. 잠복결핵이 무엇인지, 정의와 진단법, 치료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1. 잠복결핵의 정의
잠복결핵이란 결핵균이 감염되어 있으나 결핵과 관련된 증상이 없고 질병을 일으키지 않은 상태로 균이 밖으로 배출되지 않아 전염성도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잠복결핵 감염자의 약 10% 정도가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질병을 일으켜 활동성 결핵으로 발병하게 되고, 약 90%는 잠복결핵감염 상태로 평생 유지됩니다.
2. 잠복결핵 진단법
잠복결핵 진단 검사에는 인터페론 감마분비검사(혈액검사)와 투베르쿨린 피부반응검사가 있습니다.
인터페론 감마분비검사는 채취한 혈액안에 면역세포를 결핵균 특이항원으로 반응시켜 면역 반응 물질인 인터페론감마 분비 수치를 측정하여 결핵균 감염여부를 확인합니다. 인터페론감마 농도 정상수치는 0.35IU/mL이하이고, 이상수치는 0.35IU/mL 이상일 경우 양성으로 진단합니다. 투베르쿨린 피부반응검사의 투베르쿨린은 결핵 진단을 위한 피부 검사에 쓰이는 항원으로 투베르쿨린을 팔의 피내에 주사한 뒤 48~72시간 후에 부풀어 오르는 피부 경결 크기를 측정해 10mm 이상이거나 BCG를 접종하지 않은 신생아는 5mm 이상인 경우 양성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검사 결과가 양성으로 나왔다고 활동성 결핵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활동성 결핵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3. 잠복결핵 치료법
잠복결핵 감염이 확인되면 발병위험이 높은 경우에는 활동성 결핵 발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결핵치료에 준하여 항결핵약 투여가 시행되지만 치료, 법적 신고의 의무는 없습니다. 약물치료로는 항결핵약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 병합요법으로 3개월 복용하거나 이소니아지드 단독요법으로 9개월, 또는 리팜핀 단독요법으로 4개월 복용하는 방법이 있으니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의사의 진단에 따라 상의하여 본인에게 적절한 방법으로 복용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 흉부 엑스레이 검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합니다. 결핵약 복용은 긴 시간 복용해야 하며, 처방된 약물, 용량, 기간을 정확히 지키며 복용해야 결핵약의 내성 없이 원하는 치료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잠복결핵은 항결핵약을 복용 하여 치료를 받으면 결핵 발병을 90% 이상 예방할 수 있습니다. 과도한 스트레스와 다이어트, 과로를 피해 면역력이 떨어지지 않게 관리가 중요하며 규칙적인 생활과 운동, 균형 잡힌 영양 섭취를 통해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수염의 원인과 증상, 진단과 검사, 치료법과 합병증 알아보기 (2) | 2024.01.27 |
---|---|
고혈압의 원인과 진단 기준, 관리 방법, 합병증 알아보기 (2) | 2024.01.25 |
대상포진의 원인, 증상, 치료법과 예방법 알아보기 (0) | 2024.01.23 |
당뇨병 이란? 당뇨병의 검사 및 진단 방법 (0) | 2024.01.22 |
어깨 석회화 건염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방법 (0) | 2024.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