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호흡기질환을 말합니다. 독감은 일반 감기와 증상이 유사하나 원인균이 다르고 훨씬 더 중증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독감은 전염성이 매우 강하고 면역력이 약한 노인이나 소아 및 기저 질환이 있는 사람이 감염될 경우 합병증 발생으로 사망률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독감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과 합병증, 예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독감의 원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원인이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A형/B형/C형이 있으나 인체 감염을 일으키는 것은 A형과 B형입니다. 그중 A형은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항원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으며 변이가 잘 일어나 대유행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A형 독감은 동물에게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12월~1월에 많이 발생합니다. B형 독감은 한가지 종류의 바이러스만 있으며 증상이 약하고 변이가 적게 일어납니다. B형 독감은 A형 독감과는 다르게 사람과 사람사이에서만 전파될 수 있으면 2월~3월에 주로 발생하고 매년 유행하기보다는 몇 년에 한 번씩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독감의 증상
독감의 증상은 감기와 다르게 갑작스럽게 38도 이상의 고열과 두통, 인후통, 관절통, 근육통, 오한등의 전신 증상이 시작되며 인후통, 콧물, 기침등의 호흡기 증상이 동반됩니다. 독감의 증상은 겨울철에 많이 발생하는 일반 감기와 증상이 유사하지만 독감의 경우에는 치료법이 다르고 치명적인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감기와 감별진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적으로 다른점은 독감의 경우에는 갑작스럽게 시작되는 고열을 동반한 근육통, 관절통, 피로감등의 전신증상이 뚜렷한 점이 특징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감기는 그에 비해 미열과 콧물, 코막힘, 인후통등의 상기도 증상이 더 두드러지며 근육통 등의 전신증상은 미미합니다.
3. 독감의 치료법과 합병증
독감의 치료법은 A형 독감, B형 독감 모두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는 것입니다. 항바이러스제는 증상 발현후 48시간 이내에 투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48시간 내 투여는 독감 증상의 지속 기간을 단축하고 합병증 감소 효과가 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독감의 합병증으로는 폐렴이 가장 심각한 합병증이며 소아에서는 아스피린 복용과 관련있는 라이증후군(구토나 흥분상태가 나타나 경련과 같은 중증의 뇌장애증상), 그 외 근육염증, 심장근육염증, 심낭의 염증, 뇌염등도 있을 수 있습니다. 65세 이상 고령자와 심폐질환자, 당뇨병, 응고장애, 만성신장질환자, 면역억제 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서 합병증이 많이 발생하므로 좀 더 주의가 필요합니다.
4. 독감의 예방법
노인, 영유아, 임산부, 만성질환자, 면역저하자 등의 고위험군은 매년 독감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손을 자주 씻고 개인 위생을 철저히 하며 독감이 유행할 때에는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발열과 호흡기 증상이 있을 때에는 마스크를 꼭 착용하고 독감 의심 증상이 있는 경우 빠르게 의사의 진료와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경의 원인과 증상 관리방법 알아보기 (0) | 2024.02.02 |
---|---|
지방간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 예방법 알아보기 (0) | 2024.02.01 |
충수염의 원인과 증상, 진단과 검사, 치료법과 합병증 알아보기 (2) | 2024.01.27 |
고혈압의 원인과 진단 기준, 관리 방법, 합병증 알아보기 (2) | 2024.01.25 |
잠복결핵의 정의와 진단법, 치료법 알아보기 (0) | 2024.01.24 |